저렴한 요금제로 당장 바꿔야 한다
저렴한 요금제로 바꿔야 한다는 생각은 가지고 있었지만 막상 계획에 옮기기가 쉽지 않았다. 핸드폰을 새로 바꿀 때 할인을 받기 위해 선택 약정 요금제로 선택했기에 위약금이 남아 있는 상태였고, 20년간 SK, KT, LG U+ 같은 요금제 외에 알뜰 요금제가 낯설기만 했다.
기존에 쓰던 요금제는 SKT 5GX 스탠다드로 7만 원대로 납부하고 있었다. 무제한 데이터+무제한 통화가 가능한 상품. 알뜰 요금제로 갈아타려고 몇 번 시도하면서 발목을 붙잡았던 것은 위약금과 집에서 쓰는 인터넷, B tv 결합상품이었다. 그래서 계산기로 1년 예산을 짜보았다. 기존의 결합상품과 핸드폰 요금 1년 치 VS 결합을 깬다고 가정하고 인터넷, 알뜰 요금제 가입, tv 넷플릭스 가입까지.
1년 계산기를 두드려보니 답이 나왔다. 위약금과 결합상품을 감수하고라도 알뜰 요금제 가입이 득이었던것. 결합상품 해지 같은 상담을 위해 SKT 상담원과 통화하면, 우리의 의도를 밝히게 되고 상담원은 영특하게도 tv 요금제를 다운시키거나(서비스 제한 있음), 상품권을 보내준다고 만류하면서 우리의 생각을 갈팡질팡하게 만들기도 했다.
SK 7 세븐모바일 선택한 이유
매달 고정지출로 나가는 통신비를 줄이자고 부부가 합의를 하고선 알뜰 요금제를 선보이는 여러 통신사를 고려해 보았다. 결합상품을 해지하면서 인터넷 요금을 고려해야 했는데, 2만원 초반대의 sk 브로드밴드 인터넷 요금제로 선택했다. 집에서 쓰던 sk 브로드밴드 인터넷이었는데, 결합을 깨고 가장 저렴한 요금제였던 것. 이와 함께 sk 7 세븐모바일 알뜰 요금제 가입을 최종 결정했다. SKT의 통신망을 그대로 쓰는 SK 7은 LTE 기지국도 충분했기도 했고, 후에 'sk 브로드밴드와 결합상품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있었기 때문.
유심 요금제가 뭔데?
SK 7에서 광고하는 대로라면 유심만 사다가 인터넷으로 스스로 개통을 진행할 수 있고 기존 유심과 교체하면 알뜰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었다. 유심이 파는 편의점은 CU. 유심을 안 파는 편의점도 있었지만 결국 유심을 취급하는 CU 편의점에서 SK 7 유심을 손쉽게 살 수 있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수월하게 될 줄 알았는데...
sk 7 앱으로 개통, NFC 가능 유심 따로 있더라
안드로이드에서는 sk 7 앱을 통해 가입 후 온라인 신청이나 셀프 개통을 할 수 있다. 아이폰 사용자는 홈페이지를 이용해야 한다. 유심을 구매해 둔 상태였기에 "유심있음"을 선택, 쓰던 번호 그대로 sk 7 가입이니 "번호이동", 요금제 선택.
개통에 앞서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몇 가지 기능이 필요했다.
첫째, 삼성페이 가능할 것
둘째, 삼성페이에서 교통카드 사용 가능할 것. NFC 기능 필수.
SKT 핸드폰은 유심 요금제를 써도 교통카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고 했는데, 셀프 개통 후 아무리 핸드폰에서 교통카드를 추가해도 추가가 되지 않았다.
알고 보니 유심 번호가 15086으로 시작하는 것은 NFC 기능이 안된다. 15026으로 시작하는 것만 NFC가 가능.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편의점에서 유심을 구입할 때 반드시 비닐포장을 뜯어서 15026으로 시작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게 아니라면 홈페이지에서 유심을 구입할 수 있다.
유심 새로 발급받고 다시 개통
그렇게 다시 유심을 발급받기 위해 고객센터와 통화를 시도했다. (고객센터 오전 10시부터 통화 가능) 유심을 다시 발급받고 익일특급으로 하루 만에 다시 발급받았다. 실수로 번호 이동이 안돼서 다시 고객센터와 통화는 했지만 어쨌든 현재는 기존 번호 그대로 교통카드 기능도 잘 되고, 집에서 쓰는 도어락에 핸드폰으로 현관문을 열고 닫는 기능도 잘 쓰고 있다.
sk 7 로고가 들어간 NFC 기능이 되는 유심. 기존 skt 가입을 했기 때문에 그대로 nfc 유심을 장착하면 삼성페이에서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알뜰 요금제에서 제휴 카드 할인 받자
음성, 문자 무제한에 11G 제공 (100% 소진 후 일 2GB+3Mbps) 요금제인 33,00원 요금제를 선택했다. 여기에 제휴카드를 사용하면 전월 실적이 충족되고 통신요금을 자동 이체하는 한에서 캐시백이나 할인도 해주니 참고할 것. 나와 같은 경우에는 기존의 체크카드로 사용하는 용돈 카드를 제휴 카드로 바꿔서 월 1만 원 절감 혜택을 예상하고 있다. 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제휴카드를 이용해 보는 것도 좋을 것.
롯데카드 SK 7 mobile 롤라 카드 (연회비 1만 5천)
혜택-SK 7 mobile 통신료 자동이체 납부 시 5,500원 캐시백 (롯데상품권 L.point로 전환 가능한 롤라 머니 7% 적립, sk주유소 롤라머니 1% 적립)
현대카드 SK 7 mobile (연회비 본인 3만, 가족 1만)
혜택-SK 7 mobile 통신료 자동이체 납부 시 전월 실적에 따라 익월 통신비 청구할인 (30만 원 이상 1만 3천 한도/ 70만 원 이상 1만 8천 한도/ 100만 원 이상 2만 한도)
우리카드 SK 세븐 모바일 라서즐거운카드 (연회비 비자 1만 2천)
혜택-SK 7 mobile 통신료 자동이체 납부 시 전월 실적에 따라 익월 통신비 청구할인 (30만 원 이상 1만 한도/ 70만 원 이상 1만 5천 한도/ 100만 원 이상 2만 한도)
그 외에도 패밀리 레스토랑 10% 청구할인, 커피 10% 청구할인, 영화관 3천 원 청구할인, 놀이공원 자유이용권 50% 현장 할인
국민카드 SK 7 mobile 카드 (연회비 1만 5천)
혜택-SK 7 mobile 통신료 자동이체 납부 시 전월 실적에 따라 익월 통신비 청구할인 (30만원~70만 원 미만 1만2천 한도/ 70만원 이상 1만 7천 한도)
SK 7 유심 요금제 장점
1. 저렴한 요금제
2. 아직 5G 기지국은 많이 없다. LTE 기지국은 많기 때문에 (알뜰 요금을 쓰는 이들은 LTE 기지국을 쓴다) 안정적인 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다.
SK 7 유심 요금제 단점
1. 연세 있으신 분들, 귀차니즘 분들은 가입이 조금 번거로울 수 있다.
2. 고객센터 연락이 원활하지 않다. skt 고객센터와는 확연히 다른 점을 체감할 수 있다. (저렴한 요금제 대신 서비스를 양보하는 셈 친다)
알뜰 요금제 유심 쓸 때 유의할 점
- 알뜰 요금제 유심 개통 진행 시 신분증과 폰 시리얼 넘버와 본인 명의 신용카드가 있어야 한다.(가족카드, 체크카드 안됨-본인 확인 위해서 필요)
- 번호 이동 및 신규가입은 오전에 하는 게 좋다. 개통이 안되면 상담원 소통이 필수인데 오후에 하면 핸드폰 먹통이 상태로 매우 번거로워짐
- 5G 스마트폰 휴대폰은 유심 등록이 안된다. 핸드폰 잃어버렸을 시 핸드폰 찾을 수 있는 기능이 상실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굳이 등록 안돼도 상관없는 듯. (고객센터 문의)
* 홈페이지 가입 후 셀프 개통은 타 사이트에 많이 나와있으니 참고할 것.
'정보 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벅스 할인 신용카드, 스벅 할인 카드 (더하기 넷플릭스 할인 카드) (0) | 2021.03.30 |
---|---|
특고, 프리랜서 4차 긴급고용안정 지원금 (2021.3.26 시작) (0) | 2021.03.26 |
세라젬 안마의자 파우제 ( 안마의자 살만할까? ) (0) | 2021.03.03 |
zinus 메모리폼 매트리스 추천 (지누스 몰) (0) | 2021.02.23 |
세라젬 체험관에서 세라젬 침대 (세라젬 v4 ) 체험 후기 (0) | 2021.02.15 |